2025년부터 한부모가족을 위한 복지서비스가 더욱 강화됩니다. 여성가족부가 발간한 2025년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종합안내서에는 한부모가족이 받을 수 있는 70개의 지원 서비스가 한눈에 정리되어 있는데요. 임신·출산, 양육·돌봄, 주거, 교육·취업, 금융·법률 지원 등 최신 복지 혜택과 신청 방법까지 정리해 봤습니다.
1️⃣ 임신·출산 지원
한부모가족이 임신과 출산을 보다 안정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제공됩니다.
🔹 임신·출산 진료비 및 의료비 지원 :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지원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출산 후 건강 회복 지원
🔹 출산 전·후 입소 가능한 보호시설 안내 : 출산 전후 안전한 주거 지원
🔹 미혼부 지원 확대 : 자녀 출생신고 및 건강보험 신청 절차 안내
💡 출산을 앞둔 미혼부모라면? 출생신고 전이라도 복지급여 및 건강보험을 신청할 수 있도록 절차가 간소화되었습니다.
2️⃣ 양육·돌봄 지원
한부모가족의 양육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돌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복지서비스가 지원됩니다.
🔹 아동양육비 지원 인상 : 월 21만 원 → 23만 원 (청소년 한부모 : 35만 원 → 37만 원)
🔹 아이돌봄서비스 &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 맞벌이 및 저소득 한부모가족을 위한 돌봄 서비스 제공
🔹 초등학생까지 학용품비 지원 확대 : 기존 중·고등학생 대상에서 초등학생까지 포함
🔹 양육비 선지급 제도 도입 (2025년 7월 시행) :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한부모가 먼저 지원받고, 정부가 비양육부모에게 양육비를 추심하는 제도
💡 양육비 선지급 제도란? 한부모가족이 양육비를 받지 못해 생계가 어려운 경우, 정부가 우선적으로 양육비를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오는 2025년 7월부터 시행되니 꼭 기억해 주세요.
3️⃣ 주거 지원
🔹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입소 기준 완화 : 인구감소지역에서는 소득과 관계없이 입소 가능, 무주택 저소득 조손가족도 입소 대상에 포함
🔹 공동생활가정형 매입임대주택 공급 확대 : 2024년 306호 → 2025년 326호
🔹 공공주택 지원 : 한부모가족이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공공임대주택 지원
💡 주거 지원을 받고 싶다면? 주거 지원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한부모가족복지시설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4️⃣ 교육·취업 지원
🔹 미혼모 대안교육 위탁기관 운영 : 학업을 지속하고자 하는 청소년한부모 지원
🔹 자녀 교육비 지원 확대 : 학용품비 지원 대상이 초등학생까지 확대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취업 연계 지원 :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맞춤형 취업 지원
🔹 국민취업지원제도 한부모가족 포함 : 취업을 원하는 한부모가족이 국민취업지원제도를 통해 구직활동을 지원받을 수 있음
💡 취업 지원을 원한다면? 한부모가족은 여성새로일하기센터 또는 국민취업지원제도 홈페이지를 통해 상담 및 신청이 가능합니다.
5️⃣ 금융·법률 지원
🔹 저금리 미소금융 및 소액보험 지원 : 생계·의료급여 대상이 아닌 경우 보험료 전액 지원
🔹 비양육부모 양육비 이행지원 서비스 : 양육비 추심 및 상담 제공
🔹 무료 법률구조 서비스 지원 : 법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한부모가족을 위한 무료 상담 및 소송 지원
💡 소액보험이란? 별도의 가입 절차 없이 자동 가입되며, 상해나 질병 발생 시 보험금 청구 가능
6️⃣ 2025년 새롭게 달라지는 점
✅ 양육비 선지급 제도 도입 (7월부터 시행)
✅ 한부모 근로자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 인상
(3개월) 250만 원 → 300만 원
(4~6개월) 150만 원 → 200만 원 (7개월) 160만 원
✅ 아동발달지원계좌(디딤씨앗통장) 한부모가족 지원 포함
신청 방법 및 문의처
✅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안내서 확인 방법
🔹 여성가족부 👉 바로가기
🔹 한국건강가정진흥원 👉 바로가기
🔹 가족센터 누리집 👉 바로가기
📞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안내서 문의 사항은 가족상담전화(☎1577-4206) 또는 가족센터(☎1577-9337)로 연락하면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어요. 2025년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꼭 활용하세요!
🔗 자세한 내용 확인하기 👉 여성가족부 누리집
2025년 조부모 돌봄수당 신청방법 총정리 (지원금 및 신청 절차 확인)
맞벌이 부모를 대신해 조부모가 손주를 돌보는 경우 2025년부터 일부 지자체에서 ‘조부모 돌봄수당’을 지급하기로 발표했습니다. 현재 울산시는 2025년 3월부터 조부모가 손주를 돌보면 월 최
shiny09.tistory.com
2025년 1월 1일부터 제왕절개 분만 시 본인부담 무료
국민건강보험법 개정 발표보건복지부는 12월 3일 국무회의에서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을 의결하였어요.이번 개정안은 국민의 건강과 출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 제왕절
shiny09.tistory.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을 위한 안전한 전세계약 가이드 (필수 체크리스트) (0) | 2025.02.12 |
---|---|
초등학생 필수 위치 추적 앱 ‘파인드 마이 키즈(Find My Kids)’로 우리 아이 안전하게 지켜요! (0) | 2025.02.12 |
이재명 대표의 2월 임시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과 ABCDEF 산업정책 (0) | 2025.02.11 |
밀라노-코르티나 담페초 2026 동계올림픽 티켓 예매 가이드 (0) | 2025.02.11 |
도시가스 캐시백(환급금) 신청 방법, 대상자 최대 10만 원 지급 기준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