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2026 밀라노-코르티나 동계 올림픽과 대한민국 국가대표 소개

하늘아래태양 2025. 2. 10. 11:53
반응형

2026년 2월, 전 세계가 다시 한 번 겨울 스포츠의 열기에 빠져들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제25회 동계 올림픽(XXV Olympic Winter Games)이탈리아 밀라노(Milano)와 코르티나 담페초(Cortina d’Ampezzo)에서 공동 개최되며, 동계 스포츠의 정수를 보여줄 세계 최고의 선수들이 모여 치열한 경쟁을 펼치게 됩니다.

이번 올림픽은 2006년 토리노 올림픽 이후 20년 만에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동계 스포츠 축제이며, 기존의 단일 개최 방식이 아닌 여러 도시에서 분산 개최되는 새로운 형태의 올림픽이라는 점이 특징입니다.

2026 동계 올림픽의 주요 특징, 개최 일정, 경기장 정보 그리고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들의 출전 전망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026 밀라노-코르티나 동계 올림픽 마스코트 티나와 밀로

 

2026 밀라노-코르티나 동계 올림픽 마스코트(티나와 밀로) 소개 영상

 

2026 동계 올림픽 개최지 소개 영상 (출처 : 엠빅뉴스)

 

2026 밀라노-코르티나 동계 올림픽 개요

      • 대회 명칭 : 제25회 동계 올림픽 (XXV Olympic Winter Games)
      • 개최 기간 : 2026년 2월 6일(개막식) ~ 2월 22일(폐막식)
      • 개최 도시 : 이탈리아 밀라노 & 코르티나 담페초

      • 참가국 : 약 90개국 예상
      • 참가 선수 : 약 3,000명 이상
      • 슬로건 : '같이 꿈꾸다'
      • 총 경기 종목 : 16개 종목, 100개 이상의 세부 경기
      • 개막식 장소 : 산시로 경기장(Stadio Giuseppe Meazza, 밀라노)
      • 폐막식 장소 : 베로나 아레나(Arena di Verona, 베로나)

📌 밀라노-코르티나 동계 올림픽은 2022 베이징 올림픽 이후 4년 만에 열리는 동계 스포츠 대회로, 올림픽 역사상 처음으로 분산 개최 방식이 도입되며, 친환경 올림픽을 지향합니다.

 

2026 동계 올림픽 참가 국가는?

제25회 동계 올림픽 참가국은 약 90개국이 예상되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기준으로 참가했던 국가들이 대부분 참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러시아와 벨라루스는 참가 여부가 불확실하며, IOC의 결정에 따라 중립 선수단으로 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국기 국가명 국기 국가명
🇮🇹 이탈리아 (개최국) 🇰🇷 대한민국
🇺🇸 미국 🇨🇦 캐나다
🇩🇪 독일 🇫🇷 프랑스
🇳🇴 노르웨이 🇸🇪 스웨덴
🇯🇵 일본 🇨🇳 중국
🇨🇭 스위스 🇦🇹 오스트리아
🇫🇮 핀란드 🇬🇧 영국
🇦🇺 호주 🇳🇿 뉴질랜드
🇳🇱 네덜란드 🇧🇪 벨기에
🇨🇿 체코 🇵🇱 폴란드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헝가리 🇪🇪 에스토니아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크로아티아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알바니아
🇽🇰 코소보 🇲🇩 몰도바
🇬🇪 조지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인도
🇵🇰 파키스탄 🇳🇵 네팔
🇮🇷 이란 🇮🇱 이스라엘
🇱🇧 레바논 🇭🇰 홍콩
🇹🇼 대만 🇸🇬 싱가포르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 🇮🇩 인도네시아
🇻🇳 베트남 🇲🇳 몽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가나
🇳🇬 나이지리아 🇰🇪 케냐
🇪🇹 에티오피아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우루과이 🇵🇾 파라과이
🇧🇴 볼리비아 🇵🇪 페루
🇨🇴 콜롬비아 🇪🇨 에콰도르
🇻🇪 베네수엘라 🇲🇽 멕시코
🇩🇴 도미니카 공화국 🇵🇷 푸에르토리코

 

2026 동계 올림픽 경기장 & 개최 도시

이번 동계 올림픽은 밀라노(도시)와 코르티나 담페초(산악 지역)의 협력으로 개최됩니다. 뿐만 아니라, 발 디 펜, 리비뇨, 베로나 등 여러 도시에서 경기가 열릴 예정입니다.

경기장별 주요 경기 종목

개최 도시 주요 경기장 경기 종목
밀라노 메디올라눔 포럼 ⛸️ 피겨스케이팅, 쇼트트랙
코르티나 담페초 올림픽 아이스 스타디움 🥌 컬링
발 디 펜 올림픽 슬라이딩 센터 🛷 봅슬레이, 루지, 스켈레톤
리비뇨 스노 파크 리비뇨 🎿 프리스타일 스키, 🏂 스노보드
베로나 베로나 아레나 🎉 폐막식

📌 이탈리아 정부는 환경 보호를 위해 신규 경기장 건설을 최소화하고, 기존 시설을 재활용할 계획으로, 선수들의 이동 동선을 고려하여 최적의 교통 시스템을 구축 중입니다.

 

2026 동계 올림픽의 주요 특징

1️⃣ 친환경 & 지속 가능성

      • 기존 경기장 최대한 활용 → 신규 경기장 건설 최소화
      • 탄소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운영 시스템 도입
      •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활용한 대회 운영

2️⃣ 분산 개최 시스템

      • 밀라노(대도시)와 코르티나 담페초(산악 지역)의 장점 결합
      • 여러 도시에서 경기 개최 → 숙박 및 관광 효과 극대화
      • 경기장 간 이동을 고려한 최적의 교통 시스템 구축

3️⃣ 경제적 부담 논란

      • 올림픽 개최 비용이 점점 증가하면서, 경제적 부담 문제가 대두됨
      • 2014 소치 올림픽 이후 일부 개최국은 적자로 인해 경기장 폐쇄
      • 2026 올림픽은 경기장 재활용과 분산 개최를 통해 비용 절감 노력 중

이미지를 클릭하면 2026 밀라노-코르티나 동계 올림픽 공식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대한민국 역대 동계올림픽 메달 성적과 순위 (1948~2022)

대한민국은 동계올림픽에서 주로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 등에서 강력한 실력을 발휘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아래는 대한민국의 역대 동계올림픽 메달 수와 순위입니다.

연도 개최지 메달 수 순위
1948 생모리츠 🇨🇭 0 0 0 0 -
1952 오슬로 🇳🇴 0 0 0 0 -
1956 코르티나담페초 🇮🇹 0 0 0 0 -
1960 스쿼밸리 🇺🇸 0 0 0 0 -
1964 인스브루크 🇦🇹 0 0 0 0 -
1968 그르노블 🇫🇷 0 0 0 0 -
1972 삿포로 🇯🇵 0 0 0 0 -
1976 인스브루크 🇦🇹 0 0 0 0 -
1980 레이크플래시드 🇺🇸 0 0 0 0 -
1984 사라예보 🇧🇦 0 0 0 0 -
1988 캘거리 🇨🇦 0 0 1 1 19위
1992 알베르빌 🇫🇷 2 1 1 4 9위
1994 릴레함메르 🇳🇴 4 1 1 6 6위
1998 나가노 🇯🇵 3 1 2 6 9위
2002 솔트레이크시티 🇺🇸 5 3 1 9 7위
2006 토리노 🇮🇹 6 3 2 11 7위
2010 밴쿠버 🇨🇦 6 6 2 14 5위
2014 소치 🇷🇺 3 3 2 8 13위
2018 평창 🇰🇷 5 8 4 17 7위
2022 베이징 🇨🇳 2 5 2 9 14위


🏆 총 메달 수 (1948~2022)

  • 금메달 : 🥇 31개
  • 은메달 : 🥈 26개
  • 동메달 : 🥉 17개
  • 총합 : 74개

🔥 역대 최고 성적

  • 2010 밴쿠버 올림픽 (5위, 14개 메달)
  • 2018 평창 올림픽 (7위, 17개 메달 : 역대 최다 메달)


🇰🇷 주요 종목 성적

  1.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 대한민국의 동계올림픽 메달 대부분이 이 종목에서 나옴
    • 최다 금메달 리스트 : 전이경, 안현수(빅토르 안), 진선유, 심석희, 최민정 등

  2. 스피드스케이팅
    • 이상화(500m 2회 우승), 모태범(2010년 500m 금메달), 이승훈(장거리 종목 강세)

  3. 피겨스케이팅
    • 김연아(2010년 밴쿠버 금메달, 2014년 소치 은메달)

  4. 봅슬레이 & 스켈레톤
    • 윤성빈(2018년 평창 스켈레톤 금메달)
    • 원윤종-서영우 봅슬레이 2인승 은메달(2018 평창)

대한민국은 동계올림픽에서 쇼트트랙 최강국으로 자리 잡았으며, 최근에는 스피드스케이팅, 봅슬레이, 스켈레톤 등 다양한 종목에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2026년 밀라노-코르티나 동계올림픽에서도 좋은 성적을 기대해볼 만합니다.

 

2026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출전 예상 종목 및 선수 소개

1. 쇼트트랙(Short Track) : 대한민국 메달밭!

대한민국 쇼트트랙 대표팀동계올림픽에서 가장 많은 금메달(총 26개)을 획득한 효자 종목입니다. 2026년 올림픽에서도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히며, 김길리, 박지원, 최민정 선수가 대표 주자로 활약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출전 전망

      • 한국은 남녀 각 5명씩 총 10명의 출전권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음
      • 중국, 캐나다, 네덜란드 등과 치열한 경쟁 예상

 

2. 피겨스케이팅(Figure Skating) : 차준환과 김채연 기대

📌 출전 전망

      • 남자 싱글 : 차준환 (세계선수권 은메달)
      • 여자 싱글 : 김채연, 이해인, 신지아
      • 2025년 세계선수권에서 올림픽 출전권 획득 여부 결정

 

3. 스피드 스케이팅(Speed Skating) : 장거리 강세 유지

📌 출전 예상 선수

      • 김민선(500m), 김민석(1500m), 정재원(장거리 종목, 팀추월) 등
      • 네덜란드, 미국과 경쟁 예상

 

4. 아이스하키(Ice Hockey) : 올림픽 본선 도전

대한민국 남자 아이스하키 대표팀은 올림픽 3차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을 노리고 있습니다.

📌 출전 가능 선수 (대학부 중심)

      • 고려대 : 김성재, 정호현, 하정호, 김현서, 이윤석
      • 연세대 : 배상호, 이승재, 김시환, 공유찬

📌 출전 전망

      • 예선에서 우크라이나, 에스토니아, 폴란드와 경쟁
      • 본선 진출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한국 아이스하키의 성장 기대

 

5. 봅슬레이 & 스켈레톤(Bobsleigh & Skeleton) : 썰매 종목 도전

📌 현재 대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 훈련 중
📌 최종 명단은 2025년 발표 예정

 

6. 컬링(Curling)  : '팀 킴'의 재도전 기대

컬링은 한국이 2018 평창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따내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종목입니다. '팀 킴(Team Kim)'으로 불리는 대한민국 여자 컬링 대표팀은 여전히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2026 올림픽에서도 도전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 출전 예상 선수 (여자 대표팀 : 팀 킴)

      • 김은정(스킵) : 팀의 리더, 경기 운영 능력 탁월
      • 김경애(서드) : 정확한 샷과 강한 멘탈
      • 김선영(세컨드) : 안정적인 스톤 컨트롤 능력
      • 김초희(리드) : 초반 흐름을 결정하는 핵심 선수
      • 김영미(후보) : 경험이 풍부한 선수

📌 출전 전망

      • 한국 컬링 대표팀은 2025년 세계컬링선수권 대회 성적을 바탕으로 올림픽 출전권을 확보할 예정
      • 캐나다, 스웨덴, 스위스 등의 강팀과 치열한 경쟁 예상

 

2026 동계 올림픽, 중계 방송사는?

2026년 2월 6일부터 이탈리아의 밀라노와 코르티나 담페초에서 개최되는 2026 밀라노-코르티나 동계올림픽의 국내 중계는 JTBC에서 담당합니다. JTBC는 비지상파 최초로 2026년부터 2032년까지의 동·하계 올림픽 중계권을 확보하여, 해당 기간 동안 올림픽 경기를 중계할 예정입니다. 참고로, JTBC는 하계올림픽은 200시간 이상, 동계올림픽은 100시간 이상 전국 단위 TV 채널에서 방송하기로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합의하였습니다.

출처 : JTBC News

 

2030 동계 올림픽, 개최지는?

2030년 동계 올림픽은 프랑스 알프스 지역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이 결정은 2024년 7월 24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이루어졌습니다. 프랑스는 이전에 1924년 샤모니, 1968년 그르노블, 1992년 알베르빌에서 동계 올림픽을 개최한 바 있으며, 이번이 네 번째 동계 올림픽 개최입니다. 또한, 2034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는 미국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로 선정되었습니다.

 

2026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의 목표는?

한국은 역대 동계 올림픽에서 총 31개의 금메달을 획득하며,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 등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년 남짓 남은 2026 동계 올림픽에서도 한국 대표팀은 쇼트트랙과 피겨스케이팅에서 메달을 노리고 있으며, 스피드스케이팅과 썰매 종목에서도 깜짝 성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2026년 2월, 대한민국 선수들의 활약을 기대해 주세요!

🔍 최신 업데이트 소식
공식 대한체육회 및 종목별 협회 SNS, 홈페이지에서 최종 선수 명단과 대회 일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한빙상연맹 공식 홈페이지 : www.skating.or.kr
대한체육회 공식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ksoc_officia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