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 후 고열과 발진이 생긴다면? 홍역일 수 있습니다. 올해 5월, 질병관리청은 해외여행 후 홍역 감염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5월 황금연휴를 맞아 동남아, 유럽, 아메리카 등 홍역 유행 국가를 다녀온 분들이 많아지면서 귀국 후 3주 이내 발열, 발진 증상이 있을 경우 홍역을 의심해야 한다는 경고를 발표했는데요. 해외여행 후 주의해야 할 홍역 증상과 예방수칙 그리고 해외유입 사례가 실제로 어떻게 전파되었는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국내 홍역 환자 증가, 그 이유는?
2025년 5월 기준, 국내 홍역 환자는 전년 동기 대비 1.3배 증가해 총 52명이 발생했습니다. 그중 36명은 해외여행 중 감염되어 입국 후 확진, 16명은 국내에서 추가 전파된 감염자로 확인됐습니다.
가장 많은 해외 유입 감염 국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베트남 (33명)
- 우즈베키스탄 (1명)
- 태국 (1명)
- 이탈리아 (1명)
이처럼 여행 중 감염 → 국내 전파로 이어지는 구조는 앞으로도 반복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 세계 홍역 유행 국가 상황은?
질병관리청과 WHO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홍역이 다시 유행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동남아시아와 서태평양 지역은 확산세가 심각합니다.
- 필리핀 : 766명
- 중국 : 577명
- 캄보디아 : 544명
- 베트남 : 151명
이는 해외여행 중 홍역에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신호이며, 단순 관광 목적의 여행이라 하더라도 감염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홍역 주요 증상 체크리스트
홍역은 단순 발진 질환이 아닙니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전염병이에요.
홍역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고열 (38도 이상)
- 전신에 퍼지는 붉은 발진
- 기침, 콧물, 인후통
- 결막염(눈 충혈, 눈물 흘림)
또한, 홍역의 잠복기는 7~21일(평균 10~12일)로 초기에는 감기 증상으로 착각하기 쉽지만, 빠른 진료와 격리가 핵심입니다.
해외여행 후 ‘홍역’ 의심 시 이렇게 하세요!
귀국 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바로 실천하세요.
✔ 증상 시작 즉시 마스크 착용
✔ 다른 사람과의 접촉 최소화
✔ 가까운 병·의원 빠른 방문
✔ 해외여행력을 의료진에게 정확히 전달
💡 특히 12개월 미만 영아, 임신부, 면역저하자가 있는 가정은 감염 시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즉각적인 진료와 격리가 필요합니다.
홍역, 백신 접종으로 100% 예방 가능
홍역은 백신만 제대로 접종하면 충분히 예방이 가능한 감염병입니다. 대한민국은 WHO가 인정한 홍역 퇴치국(2014년)이지만, 해외 유입을 막기 위해선 개인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MMR 백신 접종 일정
- 1차 : 생후 12~15개월
- 2차 : 만 4~6세
해외여행 전, 특히 6~11개월 영아도 필요 시 임시 접종 가능하므로 출국 전 소아청소년과에서 접종 여부 확인을 꼭 해주세요.
해외여행 전 꼭 확인할 것
해외여행을 떠나기 전 다음 3가지를 꼭 체크하세요.
- 방문국가의 감염병 정보 (질병관리청 홈페이지 참고)
- MMR 백신 접종 여부 확인
- 영아 동반 시, 예방접종 가능 여부 상담
👉 질병관리청 해외감염병NOW 사이트를 통해 국가별 감염병 유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요.
📌 해외여행 후 홍역 의심된다면? 무조건 병원 먼저! 여행의 즐거움도 좋지만, 나와 가족 건강이 먼저입니다.
성인 홍역 예방 접종 필요한 사람은?
성인 홍역 예방 접종에 대해 고민하고 계신가요?최근 홍역 발생이 증가하면서, 성인들도 예방 접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성인 홍역 예방 접종에 대해 알아보고, 내가 해당되는지 체크
shiny09.tistory.com
예방접종 병원 찾기 2025년에는 어떻게?
예방접종 병원 찾기 잘 알고 계시나요? 예방접종은 우리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필수적인 방법입니다. 하지만 막상 접종을 하려고 하면 어디서 맞아야 할지, 원하는 백신이 있는지, 비용은 얼마
shiny09.tistory.com
'병원 및 의료계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대병원, 국내 최초 ‘휴고 로봇’ 활용 암 수술 성공 (1) | 2025.05.15 |
---|---|
치매검사 어디서? 보건소 치매검사 방법, 비용, 문항, 병원 (2) | 2025.05.14 |
중년 뱃살 빼는 법? 원인은 세포! (1) | 2025.05.06 |
건강증진 프로그램이란? 효과부터 실제 사례까지 (4) | 2025.05.06 |
고려은단 멀티비타민, 요오드 초과 검출! 과연 먹어도 괜찮을까?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