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봄이 찾아오면 등산이나 산책 중 산나물을 직접 채취해 즐기시는 분들이 많아지죠. 하지만 매년 이맘때쯤 반복되는 일이 있습니다. 바로 독초를 산나물로 착각해 중독되는 사고예요.
특히 3~6월 봄철에 독초 중독 신고가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한다고 하니, 단순히 ‘비슷하게 생겼다’고 먹는 건 매우 위험합니다. 오늘은 독초와 산나물의 구별법, 중독 예방 팁, 그리고 안전하게 산나물을 즐기는 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산에서 따온 나물, 왜 위험할까?
꽃이 피기 전 봄철에는 산나물과 독초의 잎과 뿌리가 매우 유사해서 전문가가 아니면 쉽게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장염, 복통, 어지럼증 등 중독 증상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어요. 최근 5년간 독초로 인한 중독 사례는 총 41건, 이 중 33건이 봄철(3~6월)에 집중되었답니다.
헷갈리기 쉬운 산나물과 독초 비교
산나물 | 유사한 독초 | 구별 포인트 |
더덕 | 미국자리공 | 더덕은 향이 강하고 뿌리에 주름, 미국자리공은 향 없고 자주색 줄기 |
우산나물 | 삿갓나물 | 우산나물은 잎이 잘게 갈라짐, 삿갓나물은 잎이 넓고 갈라지지 않음 |
곰취 | 동의나물 | 곰취는 향기롭고 날카로운 톱니, 동의나물은 향 없고 둔한 톱니 |
산마늘(명이) | 은방울꽃 | 산마늘은 마늘향, 은방울꽃은 뿌리에 독 있음 |
머위 | 털머위 | 머위는 부드럽고 잎에 털, 털머위는 잎이 두껍고 광택 |
쑥 | 산괴불주머니 | 쑥은 쑥내가 나고 잎에 털, 산괴불주머니는 불쾌한 냄새 |
🔎 특히 은방울꽃은 '명이'와 똑같이 생겨 오인 사고가 자주 발생합니다. 잎이 비슷하더라도 향기와 잎의 생김새, 줄기 유무 등 세심하게 확인해야 해요!
독초를 먹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 복통
- 구토
- 설사
- 어지럼증
- 입 안의 마비 증상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남은 식물이나 사진을 가져가면 진단에 큰 도움이 돼요.
산나물도 조리법이 중요해요!
산나물 중에서도 원추리, 두릅, 고사리 등은 미량의 독성 성분을 가지고 있어 반드시 데쳐서 섭취해야 합니다.
특히 원추리에는 ‘콜히친(colchicine)’이라는 독성 성분이 있어, 충분히 익히지 않으면 구토나 복통 유발 가능성이 있습니다. 어린잎만 채취해 끓는 물에 데쳐 섭취하는 것이 안전해요.
산나물 채취 시 꼭 기억하세요!
- 생김새가 비슷하다고 무작정 채취 NO
- 향, 잎의 톱니, 줄기 모양 등 디테일한 차이 관찰
- 잘 모를 땐 전문가 동반 or 직접 채취하지 않기
- 먹기 전 반드시 데치고 조리법 숙지하기
- 독초 섭취 시 지체 없이 병원 방문
독초와 산나물, 더 알고 싶다면?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는 봄·가을 독성 식물에 대한 가이드북을 발간하여 누리집에 게시하고 있습니다. 직접 확인해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세요!
마무리하며
자연 속 건강한 먹거리인 산나물, 하지만 그 안에는 위험도 숨어 있습니다. 매년 반복되는 독초 중독 사고를 줄이기 위해선 '안전한 채취와 조리'가 필수예요. 올해 봄에도 건강하고 안전한 산나물 즐기세요!
<자료출처=정책브리핑 korea.kr>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알기 쉬운 공공임대주택 신청 가이드 (5) | 2025.04.11 |
---|---|
해외여행 중 여행자보험 가입 가능할까? 해외에서 여행자보험 드는 법 (7) | 2025.04.10 |
종교인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 5월 정기 신청 전에 꼭 확인하세요! (1) | 2025.04.10 |
개인채무자보호법 주요 내용 : 빚이 있어도 보호 받을 수 있어요! (2) | 2025.04.09 |
전통시장에서 우리 농축산물 20% 할인 받자! 전국 16개 전통시장 시범사업 (2)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