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사찰음식 국가무형유산(공동체 종목) 지정 예고

하늘아래태양 2025. 3. 21. 11:53
320x100

한국 불교의 전통과 철학을 담은 사찰음식 국가무형유산(공동체 종목)으로 지정 예고되었습니다.


사찰음식, 국가유산으로 인정받다!

국가유산청은 불교 사상을 바탕으로 한 사찰음식 국가무형유산(공동체 종목) 으로 지정 예고했습니다.

사찰음식은 승려들의 수행식과 발우공양을 포함하며, 육류·생선·오신채(마늘, 파, 부추, 달래, 흥거)를 사용하지 않는 채식 중심의 조리법이 특징입니다. 각 사찰마다 고유한 조리법과 지역 특성을 반영한 음식 문화를 형성해 왔으며, 불교의 불살생(不殺生) 원칙과 생명 존중 사상이 깃든 음식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 사찰음식이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될 가치가 있는 이유
 불교 전래 이후 발전하며 현재까지 이어진 전통
 발효식품 중심의 조리 방식과 지역 식재료 활용
 각 지역·사찰별 고유한 특징을 지닌 차별화된 식문화
 전통 조리법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으로 재해석


사찰음식, 역사 속에서 찾은 기록들

사찰음식은 고려 시대부터 기록으로 남아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사찰이 두부, 메주 등 장류와 저장 음식의 주요 공급처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사찰은 사대부가와 곡식을 교환하는 등 음식을 매개로 민간과 활발히 교류했던 것으로 나타납니다. 사찰음식은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한국 불교 문화와 철학이 고스란히 담긴 무형유산인 것이죠.


앞으로의 절차는?

🔹 국민 의견 수렴(30일간) → 무형유산위원회 심의 → 최종 지정 결정
국가유산청은 30일 동안 국민 의견을 수렴한 후, 무형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지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우리나라의 전통과 가치를 지닌 무형유산 보호와 전승을 위해 힘쓸 계획이라고 하니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국가유산청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현재까지 지정된 국가무형유산(공동체 종목) 현황

연번 종목명 지정범주 지정일
1 아리랑 전통공연·예술 2015.9.22.
2 제다(차 만들기) 전통생활관습 2016.7.14.
3 씨름 전통놀이·관습 2017.1.4.
4 해녀 전통지식 2017.5.1.
5 김치담그기 전통생활관습 2017.11.15.
6 제염(소금 만들기) 전통지식 2018.4.30.
7 온돌문화 전통생활관습 2018.4.30.
8 장 담그기 전통생활관습 2018.12.27.
9 전통어로방식-어살 전통지식 2019.4.3.
10 활쏘기 전통놀이·무예 2020.7.30.
11 인삼 재배와 약용문화 전통지식 2020.12.1.
12 막걸리 빚기 전통생활관습 2021.6.15.
13 떡 만들기 전통생활관습 2021.11.1.
14 갯벌어로 전통지식 2021.12.20.
15 한복생활 전통생활관습 2022.7.20.
16 윷놀이 전통놀이·무예 2022.11.11.
17 설과 대보름 전통생활관습 2023.12.18.
18 한식 전통생활관습 2023.12.18.
19 단오 전통생활관습 2023.12.18.
20 추석 전통생활관습 2023.12.18.
21 동지 전통생활관습 2023.12.18.
22 한글서예 전통지식 2025.1.23.

📌 이제 사찰음식도 명단에 추가될 예정입니다!


사찰음식, 우리의 삶 속으로!

사찰음식은 최근 건강식·채식 트렌드와 맞물려 많은 사랑을 받고 있어요. 자연에서 얻은 신선한 재료로 만든 사찰음식은 몸과 마음을 정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웰빙 음식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국보 지정! 역사적 가치와 의미는?

대한민국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가 국보로 지정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해인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사찰 중 하나로, 불교 문화의 중심지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이번

shiny09.tistory.com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국보 지정 예고

국가유산청에서 국보로 승격 지정 예고한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이 탑은 통일신라 시대의 석조미술을 대표하는 유산으로,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매우 뛰

shiny09.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