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안중근 의사 순국 115주기, 안중근 의사는 어떤 인물인가?

하늘아래태양 2025. 3. 26. 16:49
320x100

2025년 3월 26일은 안중근 의사 순국 115주기입니다.

안중근 의사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독립운동가이자, 동양평화를 꿈꾼 사상가였습니다. 그의 삶과 업적을 돌아보며,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 보겠습니다.


안중근 의사는 누구인가?

✅ 황해도에서 태어난 교육자이자 독립운동가

📌 1879년 9월 2일, 황해도 신천에서 출생한 안중근 의사는 어릴 때부터 학문을 익히며 나라의 미래를 고민했습니다.
📌 1905년 을사늑약 체결 후, 국권 회복을 위해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독립운동의 길을 모색했습니다.
📌 이후 사재를 털어 삼흥학교·돈의학교를 설립하고, 교육을 통해 독립운동의 씨앗을 키우는 데 힘썼습니다.

✅ 무력 항쟁을 결심한 의병장

📌 고종 황제의 강제 퇴위와 대한제국 군대 해산(1907년) 이후,
📌 이범윤 등과 함께 의병을 조직하고,
📌 1908년에는 ‘의군장’이 되어 함경북도 경흥·회령 등지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습니다.


단지동맹과 하얼빈 의거

✅ 단지동맹 결성 (1909년)

📌 1909년, 안중근 의사는 동지들과 함께 자신의 왼손 약지를 자르는 ‘단지동맹’을 결성했습니다.
📌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칠 각오를 다지는 맹세였으며, 손가락으로 ‘大韓獨立’이라는 혈서를 남겼습니다.

✅ 하얼빈에서 거사를 결행하다 (1909년 10월 26일)

📌 1909년 9월, 일본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가 하얼빈을 방문한다는 소식을 듣고,
📌 우덕순, 조도선 등과 함께 의거를 계획했습니다.
📌 마침내 1909년 10월 26일 오전 9시,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향해 3발의 총탄을 발사하여 처단했습니다.
📌 이후 체포된 안중근 의사는 군중 속에서 "코레아 우라(대한독립 만세)"를 세 번 외쳤습니다.


안중근 의사의 최후와 옥중에서의 외침

✅ 일본군 법정에서 당당한 태도를 보이다

📌 러시아 헌병대에 체포된 후, 일본 관할 감옥으로 이송된 안중근 의사는
📌 재판 과정에서 "이토 히로부미는 동양 평화를 해친 장본인"이라며
📌 자신이 처단한 것은 개인이 아닌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 행위였음을 강하게 주장했습니다.

✅ 동양평화론을 집필하다

📌 감옥에서도 그는 ‘동양평화론’을 집필하며,
📌 한·중·일이 협력하여 평등한 동양 질서를 만들어야 한다는 사상을 펼쳤습니다.

✅ 1910년 3월 26일 순국

📌 결국 1910년 2월 14일 사형 선고를 받았고, 3월 26일, 여순 감옥에서 순국했습니다.
📌 “내가 죽은 뒤에 나의 유해를 고국으로 옮겨달라”는 유언을 남겼으나, 아직도 그의 유해는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안중근 의사가 남긴 역사적 의미

 독립운동의 상징

  • 안중근 의사의 의거는 일제 침략에 대한 강력한 저항의 메시지였으며, 이후 독립운동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동양평화를 위한 선각자

  • 그는 단순한 항일 투사가 아니라, 한·중·일이 공존하는 평화로운 동양을 꿈꿨던 사상가였습니다.

 건국훈장 대한민국장(1962년) 추서

  •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적을 기리며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습니다.

안중근 의사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

115년이 지난 지금도 안중근 의사의 희생과 독립 정신은 대한민국의 역사 속에서 빛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의 정신을 기억하고,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대한민국을 더욱 발전시켜야 합니다.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 안에 가시가 돋는다."
생전에 안중근 의사가 강조했던 말처럼, 우리는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며 그가 꿈꿨던 자주적이고 평화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가야 할 것입니다.

 

안중근 의사의 유해는 어디에 있을까? (feat. 영화 하얼빈)

가족과 함께 영화 하얼빈을 관람했어요. 지난번 안중근 의사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 '영웅'에 이어 어제는 성탄절 휴일을 맞아 영화를 관람했죠. 안중근 의사와 독립군들이 이토 히로부미를 암

shiny09.tistory.com

 

안중근의사기념관 광복 80주년 3·1절 맞아 디지털 전시 재개관

광복 80주년 3·1절을 맞아 서울 중구에 위치한 안중근의사기념관이 디지털 전시물을 대폭 확대하여 새롭게 재개관합니다.이번 리뉴얼을 통해 안중근 의사의 독립운동 정신을 보다 현대적인 방

shiny09.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