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배출가스 저감장치란? 종류·비용·신청방법

하늘아래태양 2025. 7. 12. 22:10
반응형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정의부터 종류별 기능, 2025년 정부 보조금 지원 현황, 설치 절차, 유지·관리 요령, 최신 기술 동향까지 한눈에! 노후 경유차·건설기계 소유자를 위한 가이드입니다.

 

배출가스 저감장치란?

배출가스 저감장치(Aftertreatment Device)는 디젤 차량 및 건설기계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PM),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등 유해 물질을 화학·물리적으로 제거하는 장치입니다. 기존 엔진 연소방식으로는 ① PM 약 85% 이상, ② NOx 약 30~90%까지 저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대기질 개선과 온실가스 저감에 핵심적 역할을 합니다. 국내에서는 대기환경보전법 및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에 따라 5등급(고농도 배출차량) 차량에 대한 저공해 조치 의무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주요 저감장치 종류

  • DPF(디젤 미립자 필터)
    물리 필터로 PM을 99% 이상 포집하며, 일정 주행거리(약 400~600km)마다 필터 내부에 쌓인 매연을 600℃ 이상 고온 연소로 자가 재생합니다.

  • DOC(산화 촉매 변환기)
    백금·팔라듐 촉매층을 통해 CO·HC를 CO₂·H₂O로 전환하며, 전처리 기능으로 DPF·SCR의 효율을 높입니다.

  • SCR(선택적 촉매 환원장치)
    요소수(AdBlue) 분사를 통해 NOx를 N₂·H₂O로 환원, 50~90%의 NOx 저감이 가능합니다. 중대형 화물차·버스에 주로 적용됩니다.

  • LNT(저온 NOx 트랩)
    저온 배기가스 단계에서 NOx를 흡착·저장하고, 엔진 고부하 시 고온으로 탈착·환원하는 방식으로 도시 주행에 강점을 보입니다.

  • 복합 저감장치(PM-NOx 동시 저감장치)
    DPF+SCR 혹은 DPF+LNT를 일체형으로 결합, PM과 NOx를 동시에 처리해 대형 상용차에 적용하며 유지관리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지원 대상 및 2025년 정부 지원 정책

  • 지원 대상
    • 배출가스 5등급 노후 경유차(승용·화물·버스)
    • 도로용 3종 건설기계(굴착기·덤프트럭·지게차)

  • 2025년 보조금 요약
    환경부 ‘2025년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업무처리지침’에 따라 저감장치 부착 비용의 최대 90%를 지원합니다. DPF 부착 시 차량 크기별로 271만~653만 원 상당의 장치가격 중 90%를 보조하며, 유지관리비는 연 46만 원가량을 정액 지원합니다.

  • 부가 혜택
    • 5등급 운행제한 단속 면제(최대 3년)
    • 환경개선부담금·정밀검사 면제
    • 지자체별 공영주차장 요금 할인 등

 

설치 절차 및 신청 방법

  1. 배출등급 조회: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 웹사이트에서 차량 등급 확인

  2. 지자체 온라인 신청: 시·군·구 환경 부서 홈페이지에서 신청서·자동차등록증 등 서류 제출

  3. 보조금 심사: 차량연식·용도·저감효과 등을 종합 평가해 지원 대상 선정

  4. 저감장치 부착: 인증 받은 정비업체에서 장치 설치 및 성능검사

  5. 사후 확인: 설치 후 1년간 성능 유지 모니터링, 이상 시 재보수가능

신청 시 ‘차량등록증 사본’, ‘보조금 신청서’, ‘사업자등록증(영업용 차량)’ 등을 준비해야 하며, 지자체별로 온라인·방문 접수 모두 가능합니다.

 

유지·관리 및 점검 포인트

  • DPF 자가 재생 주기 확인: 필터 포화 시 경고등 점등 ⇒ 장거리 고속주행으로 재생 유도

  • 요소수·저황 디젤 사용: 순도 32.5% 요소수(AdBlue) 혼합비 준수, 황산화물 함량 10ppm 이하 경유 사용

  • 정기 성능검사: 6개월~1년마다 성능검사로 장치 효율 확인(항목별 배출 기준 이하 유지)

  • 전문가 점검: 연 1회 이상 전문 정비소에서 센서·밸브·배관 누수 여부 점검 권장

 

최신 기술 동향 및 전망

  •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환경부 ‘자동차배출가스 종합전산시스템’과 연계해 저감장치 상태·경고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IoT 센서 탑재 차량 확대가 추진 중입니다.

  • 차세대 촉매 개발
    광촉매 기반 촉매층과 금속유기골격체(MOF) 신소재를 접목, 저온에서도 고효율 저감이 가능한 연구가 학계·산업계에서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 전기·수소차 전환 가속
    2030년까지 정부는 전체 신차 판매 중 30%를 무공해차로 전환 목표를 설정, 내연기관 의존도 점진적 축소 국면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LPG·CNG 차량도 저감장치 부착 대상인가요?
A. 일부 CNG 버스·트럭이 SCR 장치 부착 대상이며, LPG 차량은 별도 지침 확인이 필요합니다.

Q. 부착 비용 중 자부담은 얼마나 되나요?
A. 평균 10~30% 자부담이며, 저소득층(생계형 차량)은 전액 보조받을 수 있습니다.

Q. 설치 후 운행제한 해제 기간은?
A. 최대 3년간 운행제한 단속에서 제외되며, 이후 재평가 후 연장 여부 결정됩니다.

 

마무리

노후 경유차·건설기계의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은 대기질 개선뿐 아니라 운행제한 해제, 세제·요금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일석이조 정책입니다. 2025년 보조금 지침 및 지자체 공고를 꼼꼼히 확인해, 비용 부담을 줄이고 환경개선에 동참해 보세요!

 

 

차량 에어컨 냄새 제거 방법, 셀프로도 가능한 악취 완전 퇴치법

Q. 자동차 에어컨을 켜면 퀴퀴하거나 쉰내 같은 냄새가 나요. 정비소 안 가고도 없앨 수 있나요?A. 가능합니다! 자동차 에어컨 냄새는 대부분 곰팡이, 습기, 필터 오염 때문이며, 몇 가지 셀프 관

shiny09.tistory.com

 

자동차 시동 안 걸릴 때 대처법: 응급 상황부터 예방까지

Q. 아침에 시동을 걸었는데 “띠— 띠대” 하며 시동이 걸리지 않고, 전조등도 꺼졌습니다. 무엇부터 점검해야 하나요?A. 시동 불량은 배터리 방전·접지 불량, 스타터 모터 고장, 점화 플러그 이

shiny09.tistory.com

 

자동차세 납부 방법 : 연납 할인부터 온라인·모바일 납부까지 쉽게

2025년 자동차세 납부 방법을 정리했습니다.연납 할인 신청 시기, 온라인·모바일·오프라인 납부법, 납부 확인과 자주 묻는 질문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1. 자동차세란 무엇인가?자동차세는 차량

shiny09.tistory.com

반응형